Showing posts with label vmware.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vmware. Show all posts

vmware 공인 IP 설정 edit

vmware player 3.0 이상의 버전을 사용중이라면 여기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해주는 vmnetcfg.exe를 설치해야 하고 VM머신을 위한 공인 아이피가 있어야함.

http://blog.nextcube.pe.kr/tag/%EA%B3%B5%EC%9D%B8ip

vmnetcfg.exe 설정


Bridged의 랜카드를 잡아준다.



VM머신의 네트워크 어뎁터 설정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DHCP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VM머신의 OS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해주면 된다.

VMware Player 3.0 이상 버전에서 NAT 등의 네트워크 설정 vmnetcfg.exe 설치 edit

VMware Player 3.0 이후 부터 NAT 등의 네트워크 설정을 해 주는 vmnetcfg.exe가 설치가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지만 설치 파일 안에는 들어있다고 하네요. 먼저 VMware-player-3.0.0-XXX.exe에 /e 옵션을 주어서 실행합니다. 압축 해제만 하는 옵션입니다.
VMware-player-3.0.0-203739.exe /e INSTALL_DIR
여러 개의 파일이 설치가 되는데 그 중에 network.cab 파일 안에 vmnetcfg.exe가 숨어 있습니다. 그 파일만 꺼내면 됩니다.

vmware 우분투 한영키 문제 edit

어찌저찌 찾아보니 vmware에서 우분투를 깔면 한영키와 한자키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더러 있다고 한다.

http://barosl.com/blog/entry/using-han-eng-key-without-kernel-patch

뿌리 권한으로 다음을 실행합니다:

# setkeycodes 71 122
# setkeycodes 72 123

그다음 xev 를 실행시켜 보면, 커널 패치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한영키가 122, 한자키가 121 로 인식됩니다!

시스템 시작시에 항상 이 명령이 실행되도록 해 놓는 것이 좋겠죠?

그럼 이제 늘 하던대로 xmodmap 만 먹이면 됩니다. ;)

$ xmodmap -e 'keycode 122 = Hangul'
$ xmodmap -e 'keycode 121 = Hangul_Hanja'

흐흐... 굉장한 팁이군요... 커널 패치의 번거로움이 하나 줄겠네요... ^^

내가 적용한 방법


스크립트 생성


/etc/init.d/hangul_setkeycodes.sh

#!/bin/bash
setkeycodes 71 123
setkeycodes 72 122

시작시 자동으로 실행되게끔 설정


# update-rc.d hangul_setkeycodes.sh defaults
<- Older